과학원리 (8) 썸네일형 리스트형 너는 밀어! 나는 당길꺼야!🧲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을 쓰는거 같습니다. 오늘은 자기에 관련해 써 보도록 하겠습니다. 자기란?🧲 자석이 가지고 있는 특이한 성질로, 쇠붙이를 끌어당기거나 남북을 가리키는 자석 특유의 물리적인 성질을 말하는 것 입니다. 그럼, 자기장이란 무엇일까요? 자기장이란? 자석 주위에 자기가 작용하는 공간을 말하는 것으로 자기장의 모습은 철가루를 뿌려보면, 알 수 있습니다. 자기장에도 방향과 세기가 있다는걸 알고 있나요? 자기장의 방향과 세기는? 위 사진에서 보시는거와 같이 자석 주위에 철가루가 늘어선 모양을 보면, 자석의 극 쪽은 철가루가 많이 모여 있고 바깥쪽으로 퍼져있고, 가운데 부분은 반원을 그리며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자석으로 확인해 볼 수 있는 인력과 척력이 있습니다. 우리 생활에서 쉽.. 연소와 융해에 대해🧨 안녕하세요! 오늘은 연소와 융해에 대해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글은 항공에 대해 써 봤는데요! 오늘은 과학에 관련해서 한번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연소에 대해 써 보도록 하겠습다. 연소란? 물질이 빛이나 열 또는 불꽃을 내면서 빠르게 산소와 결합하는 반응을 말하는 것으로, 연소를 하기 위해선 3가지 조건이 필요 합니다. 위에 말씀 드린거와 같이 연소를 위해서는 3가지 조건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 조건은 연료 입니다. 연료는 불에 탈 수 있는 재료로서 고체연료, 액체연료, 기체연료가 필요 합니다. 고체보다는 액체가, 액체보다는 기체가 더 잘 연소됩니다. 두번째 조건은 온도 입니다. 발화점 이상의 온도로, 발화점이란 불꽃이 직접 닿지 않고, 열에 의해 스스로 불이 붙는 온도를 말합니다. .. 잠수함에서 밖을 어떻게 볼까?_잠만경🖇 안녕하세요! 오늘은 잠수함과 잠망경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먼저, 잠수함을 알아 보기 전에 잠망경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잠망경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먼저, 빛에 반사와 거울에 대해 알아보아야 하는데요! 빛의 반사는 무엇을 이야기하는 것일까요? 빛의 반사란? 우리가 물체를 볼 수 있는 이유는 빛이 물체에 반사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반사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볼까요? 위 사진에서 왼쪽에 있는 빛의 반사를 정반사라고 부르고, 오른쪽에 있는 빛의 반사를 난반사라고 부릅니다. 거울처럼 매끈한 면을 경계로 일어나는 반사로, 반사되는 빛의 방향이 일정 하게 나타납니다. 물체의 표면이 고르지 않은 것에서 일어나는 반사로, 다양한 방향으로 빛의 반사가 이루어집니다. 이번에는 빛을 반사하는 .. 축구공의 비밀⚽(정다면체_직육면체와 정육면체) 안녕하세요! 오늘은 축구공의 비밀⚽이라는 주제로 글을 써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저번 글에서 수학과 과학, 항공은 모두 같다고 말씀드렸는데, 이번에 글도 수학적(수학개념)과 과학(초등과학)이 합쳐진 글이라고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축구공은 정말 정다면체일까요? 정확하게 말하면 축구공은 정다면체가 아닙니다. 축구공은 정이십면체에 존재하는 12개의 모서리를 오각형으로 깎아내어 조금 더 구에 가깝게 만든 입체모형입니다. 그럼, 정다면체란 무엇일까요? 모든 면이 합동인 정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꼭짓점에 서 만나는 면의 개수가 같은 도형으로 ‘플라톤의 도형’이라고도 합니다. 위에 글에서 '폴라톤의 도형'이라고 말했는데, 그럼 폴라톤은 누구일까요? 플라톤은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소크라테스의 제자.. 다시 돌아와요! 탄성이란?(과학원리_탄성/탄성력/탄성체)이야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오랜만에 수학 / 항공에 관련된 글이 아닌 과학에 관련한 글을 써볼까 합니다. 물론 지금 제가 쓰고 있는 글 모두 과학 = 수학 = 항공 = 수학 = 과학 이런 식으로 모두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에 즐겁게 글을 읽어 주시면 좋겠습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오늘은 탄성과 탄성체, 탄성체의 종류에 대해서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탄성이란? 힘을 가하여 모양이 변한 물체가 가해진 힘이 사라졌을 때,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성질이다. 그럼, 탄성체란? 무엇일까요? 탄성을 가진 물체이다. 모든 물체는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지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탄성체는 용수철이나 고무처럼 탄성이 큰 물체를 말한다. 예를 들어 아래 사진과 같은 것들이 탄성체에 속 합니다. 그럼 탄성이 뛰어난 고무의 .. 날아라 비행기 (비행기는 어떻게 날까?_항력편) 비행기가 뜨는 이유 안녕하세요!!😆 어제는 비행기가 나르기위한 추력에 대해 알아 보았는데요!🤔 2023.07.11 - [과학실험] - 날아라 비행기 (비행기는 어떻게 날까?_추력편) 오늘은 비행기의 항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항력이란? 물체가 움직일때, 반대 방향에서 작용하는 공기의 저항을 말하고, 우리가 운동장이나, 공원에서 전력으로 달리기를 하면 맞바람을 느낀수 있는데 이게 바로 항력을 느낀다고 말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항력이 과연 비행기의 비행을 방해만 하는 힘일까요?😒 물론 비행을 할때 방해가 되기때문에, 비행기를 제작하면서도 항력을 최소화 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항력이 없다면 양력도 발생할 수 없기 때문에 비행기는 하늘을 날 수 없을것 입니다. 또한, 비행기의 날개를 보.. 날아라 비행기 (비행기는 어떻게 날까?_추력편) 비행기가 뜨는 이유 안녕하세요. 오늘은 비행기가 나르는 원리에 대해 알아 볼까 합니다. 오늘은 그 첫번째 시간으로 추력에 대해 알아 볼까 합니다. 종이 비행기를 만들어 세게 던지면 멀리 날아가는 사실은 당연 사실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이 당연한 사실에도 과학의 원리가 숨어 있습니다. 비행기는 뒤쪽으로 밀어주는 엔진의 힘. 즉 추력이라는 힘을 바탕으로 비행을 하는 물체 입니다. 하지만 종이비행기에는 엔진이 없기 때문에 손으로 던지는 힘이 이를 대신하게 되는 것이죠. 엔진의 힘이 강할 수록 비행기가 빠르고 멀리 날아가는 사실은 당연하겠죠? 추력이란? 움직이고 있는 물체나 비행물체를 앞으로 밀고 나아가는 힘을 추력이라고 부릅니다. 모터를 이용하여 프로펠러를 돌이는 선박이나 항공기, 제트엔진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나아가.. 빗 방울 떨어지는 오늘....💧 물방울을 닮은 과학키트🤣 오늘은 빗 방울 모양과 비슷한 오호물병을 소개해 볼까 합니다. 오호 물병은 우리가 흔히 밖에서 물을 마실때 쓰는 플라스틱 용기의 생수병이 아닌, 계란 노른자를 감싸는 막에서 영감을 받아 먹을 수 있는 물방울 형태의 물병 "오호(Ooho)" 개발 했습니다. 오호 물병을 만들때 사용된 알긴산나트륨은 해조류에서 추출한 물질로 분자 요리에 다양하게 사용되며, 체내 노폐물 배출에 도움을 주고 혈당수치를 억제하는 식품첨가제 입니다. 친환경 물병인 오호는 물병을 먹어도 좋고, 버려도 자연적으로 쉽게 분해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친환경 오호 물병이 상용화되지 위해서는 많은 양의 물 보관 문제, 위생문제, 재밀봉 방법 등등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아래 KIT를 통해 친환경 물병인 "오호 물병"을 만들어 보고, 환경.. 이전 1 다음